본문 바로가기
AI & IT 트렌드

AI 시대의 기회: 2030년까지 새 일자리 7,800만 개 창출

by En.Lee 2025. 1. 14.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때문로 일자리 감소 우려 확산되는 가운데, WEF(세계경제포럼) 새 보고서는 2030년까지 AI 주도 고용 순증가 예측했습니다.

 

2025년 세계경제포럼(WEF), 일자리 미래 보고서 2025 중요 내용

AI 일자리 보고서를 발간한 WEF

 

세계경제포럼(WEF)이 최근 '일자리의 미래 보고서 2025'를 발표했습니다. CNN은 이 보고서에서 AI로 인한 일자리 감소 부분만 강조했지만, 실제로는 더 긍정적인 내용이 있습니다. 2030년까지 AI로 인해 새로 생기는 일자리가 1억 7천만 개, 없어지는 일자리가 9천 2백만 개로, 결과적으로 7천 8백만 개의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WEF 보고서의 주요 내용을 보면,

  • 기업의 절반은 AI 시대에 맞춰 사업 방향을 바꿀 계획.
  • 3분의 2는 AI 전문가를 새로 뽑을 예정.
  • 40%는 AI가 대체할 수 있는 업무에서 직원을 줄일 계획.

이 조사는 전 세계 1,000개 기업(총 직원 1,400만 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WEF는 2년마다 이런 조사를 해서 기업과 근로자들이 미래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030년까지 가장 필요한 기술이라고 답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AI와 빅데이터 활용 능력
  • 네트워크와 사이버보안 지식
  • 기본적인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

특히 주목할 점은 86%의 기업들이 2030년까지 AI가 자신들의 사업 방식을 크게 바꿀 것으로 예상한다는 것입니다.


AI 때문에 일자리가 감소하는 직종은?

WEF 보고서는 앞으로 줄어들 직업들도 찾아냈습니다. 우체국 사무원, 임원 비서, 급여 담당자가 가장 많이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처음으로 그래픽 디자이너와 법률 비서도 감소하는 직업 목록에 올랐습니다. 특히 생성형 AI가 창의적인 일과 사무 업무를 잘 처리할 수 있게 되면서 이런 변화가 생기고 있습니다.

하지만 WEF는 AI가 사람의 일자리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을 것으로 봅니다. 대신 사람과 AI가 함께 일하는 것이 미래의 직장 모습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실제로 많은 기업들이 이런 변화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 77%의 기업이 직원들에게 AI와 함께 일하는 방법을 가르칠 계획입니다 (2025-2030년)
  • 70%는 AI 도구를 만들 수 있는 전문가를 뽑을 예정입니다
  • 62%는 AI와 협력해서 일할 수 있는 직원을 찾고 있습니다

이런 내용은 WEF가 이번 달 말에 열리는 다보스 연례 회의에서 중요하게 다룰 예정입니다. 이 회의에서 세계 지도자들과 기업 대표들은 AI가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입니다.

주요 내용 요약

1. 감소 직종

  • 우체국 사무원, 임원 비서, 급여 담당자 감소 예상.
  • 그래픽 디자이너와 법률 비서도 감소 추세(생성형 AI 영향).

2. AI와 인간 협력 강화 방안

  • 77%의 기업이 AI와 협력할 수 있도록 근로자 재교육 예정.
  • 70%는 AI 설계 전문가, 62%는 AI 협력 숙련 근로자 채용 계획.

3. 기타

  • AI가 노동력에 미치는 영향이 다보스 포럼의 주요 의제.

장기적인 AI 일자리 전망

현재로서는 AI가 일자리에 좋은 영향을 줄지 나쁜 영향을 줄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다만 한 가지 확실한 점은 사무직 직원들의 일하는 방식이 바뀔 것이라는 것입니다. 이런 변화는 천천히 일어날 수도 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매우 큰 변화가 올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OpenAI의 대표 샘 올트먼은 2023년에 중요한 예측을 했습니다. 그는 앞으로 AI가 '보통 수준의 일반 직장인'이 하는 일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현재 그의 회사는 더 똑똑한 AI를 만들기 위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 AI는 사람처럼 다양한 일을 할 수 있고, 심지어 사람보다 더 뛰어난 지능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올트먼은 AI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그가 제안한 방법 중 하나는 '기본소득'입니다. 이는 모든 미국 시민에게 기본적인 생활비를 정기적으로 주는 제도입니다. 올트먼은 이 제도가 실제로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큰 규모의 시험 사업에 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올트먼의 이런 예측이 아직 현실이 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AI가 앞으로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걱정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는 앞으로도 계속 지켜봐야 할 중요한 사회적 과제입니다.